bubble sort
바로 옆에 값이랑 비교해가면서 조건에 따라 위치를 바꾼다.
이걸 여러번 반복한다.
배열 0번부터 버블 정렬을 시작하면 loop를 한 번 돌면 배열의 마지막 요소에 최댓값 혹은 최솟값이 안착된다.
그러므로 다시 loop문을 돌기 시작할 때 안착된 배열 요소는 비교하지 않아도 된다.
배열의 0번 요소를 바닥에 놓고 마지막 요소를 위에 둔다고 생각하고
거품이 아래서 위로 올라가는 걸 상상하면 기억하기 쉽다. 선택 정렬이랑 헷갈리지도 않고.
이걸 여러번 반복한다.
배열 0번부터 버블 정렬을 시작하면 loop를 한 번 돌면 배열의 마지막 요소에 최댓값 혹은 최솟값이 안착된다.
그러므로 다시 loop문을 돌기 시작할 때 안착된 배열 요소는 비교하지 않아도 된다.
배열의 0번 요소를 바닥에 놓고 마지막 요소를 위에 둔다고 생각하고
거품이 아래서 위로 올라가는 걸 상상하면 기억하기 쉽다. 선택 정렬이랑 헷갈리지도 않고.
Comments
Post a Comment